『생활화학제품 안전약속 이행협의체』

1차 전체회의 안내

기업-시민사회-정부 간 협력체계인 『생활화학제품 안전약속 이행협의체』 출범(’24.12.02.) 이후 금년도 운영 계획 논의 등 교류·협력 기회 마련을 위해 워크숍으로 첫 전체회의를 개최합니다. (※ 이행협의체 운영규정 제7조(이행협의체 운영) : 전체회의 연 1회 개최)

 

이번 1차 전체회의는 2025년 사업계획 공유 및 제1기 운영위원회 위원(선출직) 선출, 안생품 고시 개정 관련 안내 및 산업계 의견수렴, 이행협의체 추진경과 및 발전방안등을 논의하는 자리입니다.

 

이행협의체 여러분의 많은 관심과 적극적인 참여 부탁합니다.


□ 일   시 : 25년 3월 27일(목) ~ 3월 28일(금) | 1박 2일

□ 장   소 : 소노캄 고양 다이아몬드홀 (GTX-A 킨텍스역 3번출구 도보 8분)

□ 주   최 : 환경부, 한국환경산업기술원

□ 참석자 : 생활화학제품 안전약속 이행협의체 기업·시민사회·정부 관계자 약 100명

□ 세부일정

일정주요내용
비고
3월 27일(목)
1일차
전체회의
10:00-11:00
60'
참석자 등록
전체
11:00-11:10
10'개회 선언 및 환영사
환경보건국장
11:10-11:30
20'(심의안건 1) 2025년 이행협의체 운영 계획
환경부
11:30-12:00
30'(심의안건 2-1) 운영위원회 선출 안내(입후보자 소개)
기술원
12:00-13:00
60'
중식

13:00-14:00
60'
(심의안건 2-2) 운영위원회 위원 선출(투개표)
전체
14:00-14:30
30'
(보고안건 1) 운영기관 선정 결과 보고
기술원/노동연
14:30-15:40
70'
(보고안건 2) 「안전확인대상생활화학제품 지정 및 안전·표시기준」 고시 개정 방향 등
환경부/기술원
15:40-17:00
80'
기업 자율 안전관리 활성화를 위한 정책 제언
기업대표
17:00-17:50
50'
전체 토론 및 폐회 선언
전체
17:50-18:0010'마무리 말씀
18:00-20:00
120'석식 및 네트워킹

3월 28일(금)
2일차
워크숍
09:00-09:30
30'
자율안전정보공개제도 안내

09:30-10:30
60'이행협의체 발전 방안 및 시민사회 역할
시민사회
10:30-11:30
60'
안전한 생활화학제품 확산을 위한 협력 방안
전체
11:30-12:00
30'
차세대 화학제품관리시스템 소개
기술원
12:00-12:30
30'
향후 계획 안내

※ 상기 일정은 상황에 따라 변동될 수 있습니다.

□ 오시는 길

소노캄 고양 

 (경기 고양시 일산동구 태극로 20 | GTX-A 킨텍스역 3번출구 도보 8분 )

□ 안내사항

- 당일 참석하지 못하시는 분들은 아래 의결 동의서를 3월 26일(수) 오후 6시전까지 반드시 제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정확한 시간에 시작할 수 있도록 10분전에는 도착하셔서 참가 등록 해 주시기 바랍니다. 


□ 문의

운영기관   한국환경산업기술원 _ 고혜미 선임연구원 / 02-2284-1869 / kit065@keiti.re.kr
                노동환경건강연구소 _ 조준희 팀장 / 02-6213-2012 / junhee_cho@naver.com              


『생활화학제품 안전약속 이행협의체』

1차 전체회의 결과 보고

기업-시민사회-정부 간 협력체계인 『생활화학제품 안전약속 이행협의체』 출범(’24.12.02.) 이후 2025년도 운영 계획 논의 등 워크숍으로 첫 전체회의를 개최하였습니다. (※ 이행협의체 운영규정 제7조(이행협의체 운영) : 전체회의 연 1회 개최) 

이번 1차 전체회의는 2025년 사업계획 공유 및 제1기 운영위원회 위원(선출직) 선출, 안생품 고시 개정 관련 안내 및 산업계 의견수렴, 이행협의체 추진경과 및 발전방안등을 논의하는 자리였습니다.

 

□ 일시 및 장소

  • 일시 : 25년 3월 27일(목) ~ 3월 28일(금) | 1박 2일
  • 장소 : 소노캄 고양 다이아몬드홀 (GTX-A 킨텍스역 3번출구 도보 8분)

□ 참석기관 : 총 53개 기관(17개 기관은 위임)

  • 현장참석 : 36개 기관, 72명

    정부시민사회단체기업
    참석기관수(개소)2430
  • 위임장 제출 : 17개 기관

□ 안건 심의 결과

  • 안건 제2025-01호 : 2025년 이행협의체 운영계획(안) 심의
    - 전체회의 토론결과를 반영하여 2025년 제1차 운영위원회에서 2025년 이행협의체 운영계획을 확정하기로 함.
    - 운영계획에 대하여 전체토론에서 소비자들에게 이행협의체 기업과 제품 노출이 확대될 수 있는 방안을 적극 마련하자는 제안이 있었고, 이를 위하여 이행협의체 기업의 적극적 홍보 참여가 필요하다는 데 공감대가 형성되었음. 또한,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지속적으로 높일 수 있는 콘텐츠를 생산하고 이를 캠페인으로 연결하여 이행협의체의 생활화학제품 안전 미션을 달성하자는 제안이 있었음.

2025년 이행협의체 운영계획(안)

 

○  2025년 이행협의체 목표 

  • 2025년 생활화학제품 정책 여건
    • 소비욕구 둔화 등 기업경영에 불리한 상황이 당분간 지속 예상
    • 안전이 확인되지 않은 생활화학제품이 온라인 직구 등을 통해 유입되는 이슈 재발 가능 
  • 2025년 이행협의체 목표와 과제
    • (총괄목표) 이행협의체 안정적 운영체계 마련 및 소비자 효능감을 가져올 수 있는 정체성 확립
    • (추진과제1) 전성분공개 및 자율안전정보 공개 제품과 화우품의 소비자 노출 강화를 통한 이행협의체 참여 기업의 소속감 및 참여 효능감 강화
    • (추진과제2) 신규기업 모집을 통한 규모 확장과 생활화학제품 시장 전반에 대한 자율안전관리도구 전파를 통한 제품안전 영향력 강화

  

○ 2025년 이행협의체 운영 계획 

  • 이행협의체 안정적 운영체계 마련
    • (전체회의와 운영위원회 구조 안착) 전체회의는 연 2회, 운영위원회는 정기 및 임시운영위원회 적극 운영※※

      3월 운영계획(안) 검토, 12월 성과평가 ※※3월 운영위원 선출 후 정기회의 4회, 임시회의 필요시 개최

    • (운영규정 개정) 운영위원회를 통해 운영규정 개정사항 검토 후 개선 추진
    • (신규기업 모집 및 가입) 30개 이상의 신규기업 발굴(4월 ~10월)
    • (기존 기업의 참여 및 활동 강화) <이행협의체의 날(6월)>을 통해 이행협의체 참여 기관의 소속감을 고취하고 상호 교류를 확대하며, 이행협의체의 사회적 위상 확보를 위한 전략 협의
    • (자율안전관리의 가시적 성과 마련) 전성분공개 150개 제품, 화학물질저감우수제품 20개 제품, 원료안전성평가 1,000종(신규 100), 자율안전정보공개 10개 기업 발굴
    • (기업의 안전약속 이행 점검 체계 구축) 이행점검 평가단을 구성하고 이행점검 매뉴얼을 운영위원회를 통해 확정하여 투명하고 공정한 점검 체계 구축 및 점검 추진

 

  • 대국민 인지도 제고 등 이행협의체의 사회적 위상 확립
    • (2025 생활화학제품 안전약속 캠페인 전개) “기업도 소비자도 원료 확인은 꼼꼼하게(안)” 캠페인과 “생활화학제품 오남용 사고 신속 대응을 위한 신고정보 활용” MOU(국립중앙의료원) 및 캠페인 등 추진
    • (홍보채널 지속 운영) 캠페인페이지와 뉴스레터 및 SNS 채널 적극 활용(뉴스레터 8회, 4월-11월), AI검색 노출환경을 고려한 콘텐츠 강화
    • (이행협의체 공식 안내자료 생산) 이행협의체 참여기관, 주요 활동(2024년 출범식 전시 내용 등)을 포함하여 이행협의체를 알릴 수 있는 공식 홍보물 제작 및 배포(협의체 참여 기업 홍보 및 대 소비자 홍보에 활용)
    • (이행협의체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토론과 전략 마련) 소비자 효능감을 극대화할 수 있는 이행협의체의 이미지가 형성될 수 있도록 새로운 노력 방향 발굴(운영위원회 및 이행협의체의 날)
    • (2025년 이행협의체 성과발표회) 2025년 화학안전주간에 전국민과 관련 기업들이 이행협의체의 성과를 알 수 있도록 체계적이고 임팩트 있는 성과발표회 개최
    • (이행협의체 참여기관의 적극적 홍보 참여) 이행협의체에서 생산한 영상과 자료 등의 콘텐츠를 기업의 사회적 책임 이행활동이나 마케팅 활동 등 소비자와의 접점이 형성되는 다양한 경로에서 적극 활용하고 이를 적극 추진한 기업에 대한 보상 마련(우수기업 선정에 반영)
    • (유통사 약속 마련 및 유통사의 협력사를 대상으로 한 자율안전관리도구 확산) 생활화학제품 안전을 위한 유통사 약속(또는 생활화학제품 유통사 공동 제품안전정책) 마련하고 임원진 간담회 통해 유통사 역할 강화


  • 안건 제2025-02호 : 운영위원 선출
    - 운영규정에 따라 15인 이내의 운영위원을 다음과 같이 선출하였음. 

    구분

    소속

    직책

    성명

    정부위원(2)

    환경부 화학제품관리과

    사무관

    홍정호

    한국환경산업기술원 생활화학제품안전센터
    센터장
    방혜원

    시민사회단체위원(3)

    녹색소비자연대전국협의회

    사무총장

    고민정

    발암물질없는사회만들기국민행동

    사무국장

    박수미

    환경정의

    협동사무처장

    황숙영

    기업위원(9)

    중견기업이상(5)

    메디앙스(주)

    팀장

    방숙진

    ㈜불스원

    책임

    한동진

    애경산업(주)

    팀장

    김진원

    ㈜엘지생활건강

    팀장

    이봉환

    ㈜유한크로락스

    주임

    강해빈

    소기업(2)

    와니라이프

    이사

    류경식

    향기 만드는 가게

    대표

    임서영

    유통기업(2)

    아성다이소

    대리

    김지현

    홈플러스

    과장

    정찬도



  • 안건 제2025-03호 : 2025년 이행협의체 운영기관 선정결과 보고
    - 한국환경산업기술원의 연구용역 입찰(공고번호 R25BK00567860-000)에 따라 노동환경건강연구소리캠프로주식회사가 선정되었음을 보고함.

  • 안건 제2025-04호 : 「안전확인대상생활화학제품 지정 및 안전·표시기준」 고시 개정 방향 등 보고
    - 고시 개정 방향과 E-라벨 도입방안을 보고하였고, 살생물제 관련 정책방향 안내가 있었으며, 이후 전체 질의응답과 토론이 있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