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환경부와 한국환경산업기술원은 제4회 화학안전주간을 맞아 27일 서울드래곤시티에서 ‘생활화학제품 안전사회 선언 및 성과발표회’를 개최한다.
행사는 7년을 맞은 ‘생활화학제품 안전관리 자발적 협약’ 성과와 의미를 되새기고 민관 협약을 바탕으로 생활화학제품 안전사회 구현의 새로운 도약을 선언하기 위한 목적이다.
화학제품 안전협약은 지난 2017년 2월, 18개 기업을 시작으로 현재 38개 기업이 동참하고 있다.
11월 기준 협약 참여기업들은 총 1715개 제품에 대해 함유한 모든 화학성분 정보를 공개했다. 기업 스스로 국민 건강에 위협을 줄 수 있는 유해 원료 사용을 줄이고 안전한 원료 물질로의 변경에 앞장섰다.
시민단체와 정부는 화학제품 안전협약에 참여한 기업 가운데 11개 기업 59개 제품을 ‘화학물질저감 우수제품’으로 선정해 소비자가 안전한 생활화학제품을 선택할 수 있도록 했다.
또한 기업이 사용하는 원료 성분 유해성 수준을 알 수 있도록 2220개 원료 안전성 평가 결과를 공개해 안전한 제품 제조 환경을 조성했다.
행사에서는 엘지생활건강 등 5개 생활화학제품 안전관리 우수기업 시상과 성과 발표를 예정하고 있다.
환경부는 화학제품 안전협약의 지속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2년 주기 협약 체계에서 벗어나 기업 참여와 협력을 더욱 확대할 예정이다. 이를 위해 화학제품 안전협약 체계를 상설기구인 ‘생활화학제품 안전 약속 이행 협의체(가칭)’로 전환할 계획이다.
안전한 생활화학제품 시장 조성을 위해 현재 12개(세정제 등)인 우수제품 품목을 늘린다. 우수제품에 대한 인지도를 높이기 위해 신규 표시도 개발할 예정이다.
황계영 환경부 환경보건국장은 “화학제품 안전협약 체계는 제품 원료 성분의 투명한 공개 등 민관 협업의 성공적인 본보기를 제시했다”며 “사회 전반에 안전한 생활화학제품을 확산해 국민건강 증진에 이바지할 수 있도록 앞으로도 많은 기업과 소비자의 동참을 이끌겠다”고 말했다.
_데일리안 기사 원문보기
환경부와 한국환경산업기술원은 제4회 화학안전주간을 맞아 27일 서울드래곤시티에서 ‘생활화학제품 안전사회 선언 및 성과발표회’를 개최한다.
행사는 7년을 맞은 ‘생활화학제품 안전관리 자발적 협약’ 성과와 의미를 되새기고 민관 협약을 바탕으로 생활화학제품 안전사회 구현의 새로운 도약을 선언하기 위한 목적이다.
화학제품 안전협약은 지난 2017년 2월, 18개 기업을 시작으로 현재 38개 기업이 동참하고 있다.
11월 기준 협약 참여기업들은 총 1715개 제품에 대해 함유한 모든 화학성분 정보를 공개했다. 기업 스스로 국민 건강에 위협을 줄 수 있는 유해 원료 사용을 줄이고 안전한 원료 물질로의 변경에 앞장섰다.
시민단체와 정부는 화학제품 안전협약에 참여한 기업 가운데 11개 기업 59개 제품을 ‘화학물질저감 우수제품’으로 선정해 소비자가 안전한 생활화학제품을 선택할 수 있도록 했다.
또한 기업이 사용하는 원료 성분 유해성 수준을 알 수 있도록 2220개 원료 안전성 평가 결과를 공개해 안전한 제품 제조 환경을 조성했다.
행사에서는 엘지생활건강 등 5개 생활화학제품 안전관리 우수기업 시상과 성과 발표를 예정하고 있다.
환경부는 화학제품 안전협약의 지속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2년 주기 협약 체계에서 벗어나 기업 참여와 협력을 더욱 확대할 예정이다. 이를 위해 화학제품 안전협약 체계를 상설기구인 ‘생활화학제품 안전 약속 이행 협의체(가칭)’로 전환할 계획이다.
안전한 생활화학제품 시장 조성을 위해 현재 12개(세정제 등)인 우수제품 품목을 늘린다. 우수제품에 대한 인지도를 높이기 위해 신규 표시도 개발할 예정이다.
황계영 환경부 환경보건국장은 “화학제품 안전협약 체계는 제품 원료 성분의 투명한 공개 등 민관 협업의 성공적인 본보기를 제시했다”며 “사회 전반에 안전한 생활화학제품을 확산해 국민건강 증진에 이바지할 수 있도록 앞으로도 많은 기업과 소비자의 동참을 이끌겠다”고 말했다.
_데일리안 기사 원문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