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 운영 결과

제품안전협약 분과 운영지원
  • 기업 이행 점검, 상설기구 전환, 자율안전 정보 등 신규과제 도입을 위한 실무협의체 TFT 운영
  • 향류 유해성분 사용 금지·대체 이행 확인, PB제품 및 협력사 전성분 공개, 유통사 여건에 맞는 생활화학제품 안전성 방안 마련 및 공유, 전성분 공개 확대 및 참여 유도 등 과제 이행을 위한 분과 회의 운영
  • 실무자 역량강화 교육 및 신규 참여 중소기업을 위한 1:1 컨설팅 추진

전성분 공개 확대
  • 2023년 1,801개 제품 전성분 공개

원료 안전성 평가 확대
  • 2023년 신규 원료 300종 평가로 총 2,200종 평가 목표로 하며, 2월에 개정된 생활화학제품 원료 평가·대체를 위한 가이드라인을 반영한 새로운 관리등급부여
  • IT운영지원시스템 도입과 연계한 2,200개 성분사전 업데이트 및 성분사전 활용 방법 개선

기업 이행 점검 추진
  • 시민사회단체와 기업이 함께 안전을 위한 노력을 평가하므로써 제품안전협약에 대한 국민의 신뢰를 견고히 하고 협약의 발전 방향 점검

대국민 캠페인 전개
  • 민·관·산의 노력과 성과에 대한 대국민 인지도 형성 및 생활화학제품 안전관리 노력에 대한 국민 신뢰 확보

자율안전정보제 도입방안 마련
  • 이해관계자 협의체 구성 및 운영으로 자율안전정보제 도입 방안 마련

상설기구로의 전환을 위한 준비
  • 협약과제 이행 성과 분석 및 시사점 도출, 제품안전협약 상설기구화 및 기업 참여를 위한 새로운 비전 마련 등  발전 방향 제시
  • 가습기 살균제 사고 이후 화학 안전 수준의 변화와 제품안전협약의 노력을 국민에게 알리고, 시민참여캠페인 전개로 국민 인식 개선 및 관심 형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