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품안전협약 7년, 그 시작과 노력

제품안전협약은 생활화학제품의 안전관리를 위해 기업, 시민사회, 정부가 함께 체결한「생활화학제품 안전관리 자발적 협약」입니다. 2017년부터 시작된 협약을 통해 생활화학제품의 안전성 강화에 대한 기업의 책임의식을 높이고, 소비자의 알권리 보장을 위한 기업의 자발적인 노력을 이끌어 왔습니다. 


기업은 제품 내 함유 전성분 공개, 제품 원료 단위 안전성 점검·조치, 완제품 단위 유해성 점검·조치, 제조사 자율적 제품 위해성·함유성분 관리 강화, 대-중소기업간 제품 안전관리 협업, 유통사 자율적 제품 안전확인 판매 정책 마련·시행 등 협약 내용을 이행하기 위해 노력하였습니다.

시민단체는 협약이행 전과정에 참여하며 소비자의 알권리와 안전한 제품을 선택·소비할 권리 보장을 위해 민·관의 제품 안전관리 노력을 점검하고 국민들과 소통해 왔습니다.


정부는 협약 이행을 위한 민·관 협력체계 구축과 이협의체 운영을 지원하고 기업의 협약 이행을 위해 전성분 공개 가이드 및 원료 안전성 평가 가이드 제공, 혼합물 유해성 평가(GHS) 가이드 제공, 성분사전 발간, 제품·화학물질 안전정보 DB구축 및 제공, 실무자 교육·워크숍 등을 지원하였습니다. 

운영 현황

2017년 2월 정부와 18개 생활화학제품 제조·수입·유통기업이 자발적인 체결로 출범한 제품안전협약은 2기(2019. 6.~2021. 6)에 시민사회가 참여하며 내실을 다졌고, 3기에는 23개의 신규기업이 참여하면서 38개 기업, 환경정의, 발암물질없는사회만들기국민행동, 환경부, 한국환경산업기술원이 함께 했습니다.

21

1기 (2017~2019)

22

2기 (2019~2021)

42

3기 (2021~2023)

구분제1기 (2017. 2.~2019.2.)제2기 (2019.6.~ 2021.6.)제3기 (2021.12.~ 2023.12.)
정부
환경부
식약처
한국환경산업기술원
환경부
한국환경산업기술원

환경부

한국환경산업기술원


기업
라이온코리아 주식회사
(주)무궁화
보령메디앙스(주)
(주)불스원
애경산업(주)
에스씨존슨코리아(유)
(주)LG생활건강
(유)옥시레킷벤키저
(유)유한양행
유한킴벌리(주)
(주)유한크로락스
(주)피존
한국피엔지(유)
헨켈홈케어코리아(유)
롯데쇼핑(주)롯데마트
(주)아성다이소
(주)이마트
홈플러스(주)

라이온코리아 주식회사
보령메디앙스(주)
(주)불스원
(주)비엔디생활건강
상원상공(주)
애경산업(주)
에이제이(주)
(주)LG생활건강
(유)옥시레킷벤키저
코웨이(주)
(주)유한크로락스
(주)퓨코
(주)피존
(주)크린하우스
롯데쇼핑(주)롯데마트
(주)아성다이소
(주)이마트
홈플러스(주)

(주)LG생활건강

라이온코리아 주식회사

롯데쇼핑(주)롯데마트

메디앙스(주)

(주)무궁화

(주)불스원

(주)아성다이소

애경산업(주)

에이제이(주)

(주)유한크로락스

(주)이마트

코웨이(주) 

(주)크린하우스

(주)피죤

홈플러스(주)

(유)강청

다비

닥터드마겔(주)

(주)더크루

(주)디오디큐

라브르베르코리아

(주)럭키산업

(주)물도깨비

(주)바이탈오투

(주)세서미랭크

센츄

(주)씨엔지세븐

아리퓨어

(주)월드그린

(주)웰튼헬스케어

일리크컴퍼니

작(JAK)

(주)천연살균의학처

포레스트오브퍼퓸

(주)프로세이프바이오

(주)해피룸

향기만드는가게

허브에프앤씨

시민단체

환경운동연합

환경정의

환경정의

발암물질없는사회만들기국민행동

운영기관

노동환경건강연구소노동환경건강연구소
노동환경건강연구소
리켐프로(주)

제3기 생활화학제품 안전관리 자발적 협약서


환경부, 한국환경산업기술원과 이 협약에 참가하는 안전확인대상생활화학제품 제조‧수입․유통사(이하 생활화학제품업계) 및 시민사회는 생활화학제품의 안전성에 대한 국민적 우려가 크다는 사실에 인식을 같이하고, 생활화학제품 안전관리 강화를 위한 민․관 공동 노력의 필요성에 공감하면서, 생활화학제품 안전관리에 대한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강화하고, 국민의 안전과 건강 보호 증진 및 알권리 신장을 위하여 다음과 같이 「제3기 생활화학제품 안전관리 자발적 협약」을 체결한다.

 

1. 생활화학제품업계는 자사에서 제조‧수입하는 제품에 함유된 모든 성분을 공개하기 위한 방안을 강구하고 해당 정보를 정부·시민사회에 제공한다. 동시에 유통사의 생활화학제품 안전정보 확인 판매를 위한 정보 활용에 적극 협력한다.

 

1. 생활화학제품업계는 자사에서 제조‧수입하는 제품에 안전한 물질 사용을 위한 노력으로 원료 성분에 대한 안전성 평가를 실시하고, 그에 따라 유해원료의 저감 및 안전한 원료물질로 변경 등 필요한 조치를 시행한다.

 

1. 생활화학제품업계는 기업의 생활화학제품 안전 책임주의 확대를 위하여 기업 경영원칙에 제품 안전관리 최우선 원칙을 반영하고, 제품 안전에 대한 임직원들의 책임의식 제고 방안을 강구한다.

 

1. 생활화학제품업계는 자사에서 제조‧수입하는 제품의 표준 및 안전관리지침을 마련하고 이를 이행한다. 동시에 협력업체의 안전관리를 위한 노력을 강구하고, 대-중소기업간 제품 안전관리를 위한 협업을 강화한다.

 

1. 생활화학제품업계는 안전한 제품의 판매·유통을 위해 노력한다. 이를 위해 제조·유통사 간 협력으로 생활화학제품 안전 확인 판매 시스템을 구축하는 등 생활화학제품 안전관리 강화를 위해 적극 노력한다.

 

1. 시민사회는 국민을 대표하여 협약을 통하여 소비자의 알권리 신장 및 안전한 제품을 선택·소비할 권리 보장을 위해 노력한다. 이를 위해, 정부 및 생활화학제품업계와 적극 협력한다.

 

1. 시민사회는 생활화학제품 안전관리 자발적 협약의 목적과 성과가 공유되고, 안전에 대한 국민적 우려가 해소될 수 있도록 민·관의 제품 안전관리 노력을 점검하여 공유하는 등 사회적 소통을 위해 적극 노력한다.

 

1. 환경부와 한국환경산업기술원은 생활화학제품 전성분 공개 및 원료 안전성평가 가이드라인을 마련하는 등 생활화학제품업계 스스로가 협약사항을 성실히 이행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한다.

 

1. 환경부와 한국환경산업기술원은 생활화학제품업계와 시민사회 간 대화의 장 마련으로 상호 신뢰 형성에 협력하며, 공동의 안전한 사회 조성을 위하여 생활화학제품 안전관리 협의체를 운영한다.

 

1. 생활화학제품업계·시민사회·환경부·한국환경산업기술원은 상기 조치를 실천하기 위한 세부 이행계획을 수립하고 2023년 12월 13일까지 성실히 이행한다.

 

상기 합의사항은 협약 당사자가 본 협약서에 서명함으로써 발효되며, 협약의 이행과 관련된 세부 사항은 상호 협의하여 결정한다.

 

2021년 12월 14일

운영성과

7

제품안전협약 시작과 지금

(2017.2. 출범)

38

제3기 제품안전협약 참여 기업

(2023.5. 기준)

100

화학물질저감 우수제품

(2024.11. 기준)

2,040

전성분 공개 제품

(2024.11. 기준)

3,257

원료 안전성 평가

(2024.11. 기준)

‘제품안전을 위한 공동 체계 개발’과  ‘상호 신뢰에 기반한 협력적 거버넌스 문화 조성’은 품안전협약의 성과입니다. 2023년 국민 참여 캠페인 ‘칭찬해 응원해 함께해’로 민·관·산의 노력과 성과에 대한 대국민 인지도 형성 및 생활화학제품 안전관리 노력에 대한 국민 신뢰 기반을 마련하였습니다.

제품안전을 위한 공동의 도구 개발



상호신뢰에 기반한 협력적 거버넌스 문화 조성 


대국민 신뢰기반 구축 

2023 생활화학제품 안전관리 우수기업

최우수상 (주)LG생활건강

우수기업 (주)이마트 (주)불스원 메디앙스(주) (주)해피룸